인터스텔라

늘 극장에서 영화를 보고 나온 후에는 재미가 있었던 없었던 감동을 받았던 그렇지 않던 리뷰를 써오던 습관이 벤 나지만, 난 이 영화에 대한 리뷰를 쓰는 것이 참 조심스럽다. 나와 다른 취향을 가진 일반 관객들이 내 글을 보고 괜히 봤다라는 생각을 하는 것이 두려운 것이 아니라 영화가 너무나 경이롭고 위대하게 느껴져서 나따위가 이 영화를 평하는 것이 너무나 죄스럽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수많은 영화들이 과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한 시나리오로 만들어졌고 그 일부는 꽤 임펙트를 주기도 했다. 그것이 "사이언스"에 초점을 맞췄던 "픽션"에 초첨을 맞췄던 말이다. 그런데, 인터스텔라는 정말 굉장했다. 엄청난 임펙트가 가슴에 연속에서 여러번 꽂혔다.

위의 이분법으로 분류를 하자면 분명 인터스텔라는 "사이언스"에 초점을 맞춘 영화이다. 그래비티가 아마도 그 극단에 있는 영화가 아닐까 싶은데 인터스텔라는 그것보다는 조금 더 픽션적인 요소를 가미하였다. 다만, 그 가미된 픽션은 현재 상황으로는 "사이언스"에서 어찌 표현할 길이 없었던 부분에 국한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주의 어떤 곳에서는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라는 막연한 호기심이 아니라, 인류가 원인을 알 수 없는 먼지바람으로 인하여 식량난에 처하여 인류를 구하기 위하여 우주에서 새로운 행성을 찾아야 하는 것이 영화의 배경이다. 이런 시작으로 보면 요즘 유행하는 많은 디스토피아 또는 종말문학과의 또다른 부류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주로 나가고 나서는 정말 다른 영화가 시작된다.

영화를 보고난 이후에 느꼈던 감정은 정말 오묘하고 복합적이었는데, 마치 내가 영화를 통해서 상대성이론을 다 이해한 것같은 착각에 빠진 느낌이 들었다. 그만큼 감독 (또는 시나리오)는 일반인들에게 어떻게 하면 상대성이론을 잘 이해시킬 수 있을까를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 영화를 보는 관객들의 대부분은 상대성이론이라는 말만 들었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상대성이론을 이해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영화에서는 중력이라는 요소에 초점을 맞춘다. 중력에 의하여 시간이 달라진다라는 매우 단순한 메시지로서 관객들을 상대성이론의 입문과정에 몰아 넣는다.

상대성이론이나 물리학에 대해서 이해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영화는 재미있다. 그저 마법같은 일이 우주에서 벌어지고 말았다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면 굳이 머리쓸 일도 없다. 그냥 그렇다면 그런거구나라고 봐도 흥미진진한 영화이다. 나라고 상대성이론을 알고 봤겠는가! 신비로운 우주에서 인류구원이라는 거창한 임무를 띠고 있어도 인간의 이기심과 서로간의 갈등, 가족애, 동료애, 개척정신 등 지구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피할 수는 없다. 아마도 이 영화가 일반관객들을 위한 진입장벽이 그래비티와 비교하여 상당히 낮은 것은 인간들이 가지는 갈등요소와 광활한 우주가 선사하는 위대함을 적절히 잘 섞어 놓았기 때문일 것이다.

내 편협한 영화취향으로 인하여 이제 영화 추천따위는 하지 않겠다고 결심하였음에도 난 이 영화를 강 력 히 추천한다.

이상욱